자유롭지 못한…

보스니아 반란 ① 끝나지 않은 내전, 민영화 본문

쟁점/14 OccupyWorld

보스니아 반란 ① 끝나지 않은 내전, 민영화

때때로 2014. 2. 18. 04:35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북동부 도시 투즐라는 유럽에서 유일한 염호로 유명하다. 터키어로 소금을 뜻하는 '투즈(Tuz)'에서 이름이 유래하기도 했다. 이곳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대부터 유고슬라비아 시절까지 대표적인 산업지역이었다. 지금도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에서 세 번째로 큰 산업도시다. 1992~1995년 내전은 10만여 명이 목숨을 잃은 참혹한 재앙이었다. 전쟁이 끝난 후에도 투즐라와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전역의 노동자들에게 재앙은 끝나지 않았다. 자본주의 시장경제 재구축 과정에서의 민영화는 전쟁으로 많은 것을 잃은 노동자들에게 남겨진 얼마 안되는 것들까지 약탈해 갔다.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에서 다시 시작된 내전, 이번엔 계급전쟁인 내전에 대해 살펴보겠다.

보스니아 반란 ① 끝나지 않은 내전, 민영화
보스니아 반란 ② 플리넘, 인민권력이 싹트다
보스니아 반란 부록 - 인민의 목소리, 당신은 얼마나 배고픈가?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는 세르비아계의 스르프스카 공화국, 무슬림과 크로아티아계의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연방 두 개의 체제로 이뤄져 있다.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연방은 10개의 주로 나뉘어 있다. 민족과 종교에 근거행 지역과 인민을 분할한 지금의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정치체계는 1995년 내전을 종식시킨 데이턴 협정에서 비롯했다. [그래픽 自由魂]

"[내전이 진행되던] 그 때 저는 전쟁 때문에 전기를 사용할 수 없었고 난방도 못했습니다. 그런데 지금 저는 임금을 받지 못해 전기와 난방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19개월 째 임금을 받지 못한 무네베라 드루고바치가 AP와의 인터뷰에서 한 말이다. 그녀는 옛 유고시절 국영기업이었던 페로엘레크트로(Feroelektro)에서 1984년부터 일해왔다. 10년 전 재계의 거물 고란 스타니치가 이 회사의 지분 60%를 100만 유로에 사들이면서 그녀의 삶은 악화되기 시작했다. 회사는 민영화되자 마자 임금을 삭감했다. 스타니치는 회사의 가장 값어치 있는 건물을 담보로 은행에서 240만 유로를 빌려 자신의 개인적인 석회 공장을 건설했다. 회사가 은행 빚을 갚느라 허덕이면서 노동자들에게 임금을 지급하는 것이 중단됐다. 그녀는 19개월 째 일을 하고 있지만 임금을 받지 못하고 있다.

"제 남편은 전쟁 때 목숨을 잃었죠. 저는 평화로운 이 시기 고란 스타니치에 의해 목숨을 잃어가고 있습니다."

드루고바치에게 닥친 참사는 투즐라의 디타(DITA) 노동자들에게도 비슷하게 다가왔다. 세제공장인 디타의 소유주는 2007년 회사를 사들인 후 막대한 은행 빚을 갚기 위해 노동자를 위한 연금과 건강보험료 지급을 중단했다. 노동자들은 1년 넘게 임금을 받지 못했다. 어떤 이들은 임금이 50개월이나 체불됐다고 말한다. 같은 지역의 Konjuh, Resod-Gumig, Polihem, Poliolchem에서도 비슷한 일이 벌어졌다. 새 기업주들은 스타니치처럼 노동자들의 임금 떼먹고 기업의 자산을 팔아 자신들의 잇속을 챙기기 바빴다. 민영화 과정을 관리감독하는 정부 기구도 무능하기 짝이 없었다. 법적 절차가 진행되는 기간은 기업주들이 자산을 팔고 회산의 파산을 신청하기 충분한 시간을 마련해줬다. 민영화는 노동자들과 인민의 공공자산 약탈을 부르는 다른 이름에 불과했다.

파업을 하던 노동자들은 2012년 12월부터 거리 시위를 시작했다.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를 휩싼 반란의 불길이 투즐라에서 시작된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하다. 옛 유고 연방 시절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사회주의 공화국은 공장 굴뚝을 국장으로 사용할 만큼 산업화된 지역이었다. 민영화와 그에 뒤이은 기업주들의 공공자산의 약탈은 불이 붙기 만을 기다리고 있었다.

실업률 28%, 20년간 쌓여온 분노의 폭발

"이 봉기는 10년, 아니 20년 전, 공장과 설비가 없어지기 시작했을 때, 노동자들이 살아갈 기회를 잃게 됐을 때 일어났어야 합니다. 시위대에게는 정부를 불태우는 것 말고 어떤 길도 남아있지 않습니다."

사라예보의 한 은퇴 노동자의 말이다. 그렇지만 시위가 처음부터 격렬했던 것은 아니다. 2월 5일 평화롭게 시작된 노동자들의 시위에 학생들이 합류했다. 정부의 무능 때문에 유럽연합의 학생교환 프로그램인 에라스무스플러스(the European Erasmus+ program) 혜택을 받지 못하게 된 학생들은 분노했다. 이미 압도적으로 높은 청년실업률 때문에 화가 쌓일 만큼 쌓인 상태였다. 세계은행이 발표한 공식 실업률은 28.1%다 이는 그리스 23.2%, 스페인 25%보다 훨씬 높은 것이다. 장기실업률은 더 심하다. 2012년 그리스와 스페인의 장기실업률이 각각 14.4%, 11.1%일 때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의 장기실업률은 25.4%에 달했다. 청년실업률은 언론에 따라 57.5%에서 60%까지 추정한다. 투즐라 학생 하멜 세이라노비치는 이렇게 말한다.

"사람들은 분노를 20년 간 쌓아왔습니다. 우리는 평화적으로 시위를 해왔지만 누구도 우리에게 귀기울이지 않았죠. 이 모든 일이 일어난 이유가 바로 이것입니다. 전 단지 학생입니다. 하지만 부모와 친구들이 형편 없는 임금을 받는 동안 정치인들이 우리를 약탈하며 돈과 더운밥을 누리고 있는 상황은 알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시위대가 (정부청사에 불을 질러) 악화시켰다고 말하지만 전 아닙니다. 정치인들이 이해하게끔 하려면 이 방법 밖에 없었기 때문입니다."

5일 시위는 노동조합과 실업자 연맹이 조직했다. 노동자와 실업자ㆍ학생 들은 주지사와의 면담을 요구했지만 그는 나타나지 않았고 대신해 나온 경찰은 시위대를 폭력적으로 진압하기 시작했다. 굴복하지 않은 시위대는 거리에서 항의를 계속했다. 사흘 째인 7일 시위대는 주청사로 진입해 집기를 들어내고 건물에 불을 붙였다. 건물 밖의 시위대는 경찰의 진입을 가로막았다. 1년 넘게 항의를 지속해왔지만 그 누구도 그들의 목소리를 들어주지 않았었다. 이 순간 전 세계는 그들의 목소리를 듣게 됐다.

반란은 곧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전국으로 확산됐다. 1995년 내전을 종식시킨 데이턴 협정이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전국을 민족에 따른 두 개의 공화국으로 분할하고 다시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연방을 10개의 주(Canton)로 나누었지만 이 강제된 경계는 노동자 투쟁의 확산을 막지 못했다. 사라예보는 물론 크로아티아계가 다수인 모스타르, 세르비아계가 다수인 스르프스카 공화국의 수도인 바냐루카에서도 노동자들의 연대와 항의시위가 벌어졌다. 시위 초기 '보스니아인들의 반란'이라며 민족적 분열을 부추기는 지배계급의 꼼수는 아직까지 큰 효력을 내지 못하고 있다. 반란의 불꽃이 민족의 경계를 넘어 순식간에 전국으로 확산될 수 있었던 데는 투즐라가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전국에서 가장 다민족적인 곳이라는 것도 한몫 했을 것이다.

게다가 정치인들은 무능하기 짝이 없다. 지난해 무슬림계 가족에게서 태어난 베리나 하미도비크의 죽음은 이를 극적으로 보여줬다. 병든 하미도비크는 치료를 위해 세르비아로 가야했다. 하지만 의회에서 정치인들의 민족적 갈등으로 통과되지 못한 시민권법 때문에 아이는 제때 치료를 받지 못해 결국 목숨을 잃었다. 민족으로 갈라진 의회가 새로운 시민권에 '종교족ㆍ민족적 정체성'을 포함하는 것을 두고 해결책을 내놓지 못했기 때문이다. 게다가 정치인들은 무능할 뿐만 아니라 탐욕스럽기도 하다. 한달 평균 임금이 350유로를 넘지 않음에도 의원들은 한달에 3500유로를 받고 있다.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인민이 자신의 요구를 실현하기 위해선 기존 정치인들을 뛰어넘을 필요가 있다. 이들의 반란은 혁명으로 나아가야만 했다.(계속)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