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근본주의 (3)
자유롭지 못한…
미국의 제국주의적 개입은 세계 곳곳에서 근본주의, 극단주의 무장 세력의 성장을 불러왔다. 그것이 꼭 반사작용으로서만 이뤄진 것은 아니다. 때론, 혹은 더 자주 미국 정부가 직접 개입해 무장 세력을 키워내곤 한다. 소련을 견제하기 위해 아프가니스탄 이슬람전사를 키워냈던 게 대표적 사례다. 그들이 키워낸 괴물은 9ㆍ11 테러로 응답했다. 아래 글은 이라크와 시리아를 휩쓸고 있는 이슬람국가(ISIS) 또한 마찬가지라고 말한다. 최근 비밀 해제된 미 국방정보국(DIA)의 2012년 보고서는 이슬람국가의 성장을 정확히 예측했음에도 불구하고 미 정부는 그 위협을 무시했다. 당시 여러 분석은 시리아 저항세력 지원해 전장을 부추기는 미국의 행동이 이슬람국가를 도와줄 것이라는 점도 분명히 지적했다. 이 또한 무시당한 건..
프랑스의 자유ㆍ평등ㆍ박애 폭격 프랑스는 1월 11일 말리 내전에 전격적으로 개입했다. 공중 폭격을 실시했고 현재 군인 2150명이 배치돼 있다. 올랑드 대통령은 "프랑스는 아프리카 동맹국들과 함께 말리 정부의 요청을 받아들이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내전 개입이 프랑스의 독단이 아니라 말리 정부의 요청에 대한 선의의 답변이란 것이다. 그는 "우리가 철군했을 때 말리가 안전할 것과 합법적인 정부와 선거과정 그리고 그 영토 안에 더 이상 테러리스트의 위협이 없도록 보장하는 것"이 군사개입의 목표라고 밝혔다. 그러나 상황은 여의치 않아 보인다. 미국의 지원도 항공기를 이용한 프랑스군 부대와 장비의 수송에 그치고 있다. 독일은 입발린 말과 달리 프랑스군의 수송 지원 요청도 거부했다. '국제사회, 말리 내전 개입..
테리 이글턴이 한국을 방문 중입니다. 9월 6일 고려대에서 공개강의를 열었죠. 이 강의의 강연문 전문이 올라왔습니다. 전문은 링크를 눌러주세요.신념과 근본주의 |테리 이글턴 9월 6일 고려대학교 강연문(링크)이글턴은 이 강연에서 두 가지를 이야기하려는 것 같습니다. 첫번째로 근본주의적 종교의 믿음과 과학적 합리성을 바탕으로 한 회의는 동전의 다른 두 면과 같다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서구가 직면한 근본주의 세력의 도전에서 과학적 합리성으로 대응하는 건 오히려 상대방을 강화시켜준다는 겁니다. 여기서 두번째, 새로운 정치적 기획으로서 신념의 이야기가 나옵니다. 신념은 어떠한 무조건적인 믿음과 같은 것이 아니라는 것이죠. 신념은 지식(앎)이 아니지만 이성적 회의를 배제하지도 않는다고 주장합니다. 유토피아, 아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