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불평등 (2)
자유롭지 못한…

한국인들, 특히 개신교 신자들은 이스라엘에 대한 막연한 환상에 사로잡혀 있곤 한다. 사방에 적들만 가득한, 천연자원마저 빈약한 곳에서 근면과 협동을 통해 세계적인 선진국으로 성장했다는 신화 말이다. 꼭 한국인만 그런 건 아닌 듯싶다. 올해 3월 이스라엘 건국 75주년에 붙인 '이코노미스트'의 찬사를 보니 말이다. 이스라엘에 대한 환상은 다양하다. 나이먹은 이들이라면 '키부츠'라는 농업공동체를 떠올리며 그 사회주의적 성격에 매혹됐던 이들도 있을 것이다. 최근의 젊은이라면 '스타트업의 천국'이라는 찬사를 들어봤을 것이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은 미국의 원조라는 동아줄이 없었다면 불가능한 일일 수도 있다. 마이클 로버츠가 1948년 건국 이후 이스라엘 경제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Deepl.com을 이용해 ..
최근 나온 신광영 교수의 '한국 사회 불평등 연구(후마니타스)'는 제목 그대로 우리나라의 불평등 현실을 실증적 연구로 보여준다. 여성과 남성 사이의,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20대와 그 기성세대의 불평등에 대한 말은 많았지만 이에 대해 피상적으로만 알고 있었다. 피상적인 파악만으로 한국 사회 불평등 개선 방향을 모색할 수는 없다. 신 교수의 책은 우리가 불평등의 해결을 위해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숙고하게 해준다. 배움이 모자라 많은 것을 얻을 순 없었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다시 계급을 고민해야 함을 되새기게 됐다. 매우 즐겁게 읽은 책이지만 이 책에 대한 소개를 미뤄왔던 것은 '실증' 연구에 바탕한 책으로서 꽤나 심각해 보이는 결함을 지녔기 때문이다. 결론을 바꿀 정도의 결정적인 결함은 아니지만 '실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