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롭지 못한…

카스트로, 1926.8.13-2016.11.25 본문

쟁점

카스트로, 1926.8.13-2016.11.25

때때로 2016. 11. 28. 00:25


1955년 특별사면으로 풀려난 피델 카스트로(오른쪽)는 멕시코로 건너간다. 그곳에서 혁명 동지 체 게바라를 만나고 1956년 돌아와 3년여의 분투 끝에 1959년 바티스타 독재정권의 전복에 성공한다.

'역사의 심판'.

언제부터인가 흔한 말이 돼버렸다. 내 기억 속 처음은 1993년 김영삼이었다. 그는 그해 5월 13일 5ㆍ18 관련 특별담화를 발표하면서 이런 뜻의 말을 했다. 스스로 5 ㆍ18 광주민주화운동의 후계자임을 내세운 담화는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은 '역사의 심판'에 맡기자며 대통령으로서 자신의 책임을 회피하는 변명으로 마무리된다.

"저는 광주민주화운동에 대한 진상 규명과 그 책임자 처벌을 요구하는 주장이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 저 역시 그 문제를 놓고 많은 고뇌를 거듭해 왔습니다. 그러나 진상 규명은 역사를 올바르게 바로 잡고 정당한 평가를 받자는 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진상 규명과 관련하여 미흡한 부분이 있다면 이는 훗날의 역사에 맡기는 것이 도리라고 믿습니다. 진실은 역사 속에서 반드시 밝혀지고 만다는 것이 저의 확신입니다."
-1993년 5월 13일 김영삼 전 대통령 5ㆍ18 광주민주화운동 관련 특별 담화

그러나 때때로 '역사의 심판'은 미래의 과제를 수행하는 현재의 혁명가들에겐 단단한 디딤돌이 되기도 한다. 11월 25일(현지시간) 90년의 삶을 마친 피델 카스트로가 그 중 한 명이다.

1953년 몬카다 병영을 습격해 바티스타 독재정권을 전복시키고자 했던 카스트로는 미숙함 때문에 오히려 사로잡혀 재판을 받는다. 어떤 법적 권리도 보장받지 못한채 진행된 재판에서 그가 유일하게 보장받은 단 하나의 권리는 최후진술이었다. 물론 그조차 그가 그토록 믿었던 민중의 참관은 군인들에 의해 차단된 채 가능했다. 그는 1952년 쿠데타를 일으킨 바티스타야 말로 법정의 심판대에 서야 한다며 자신을 법이 아닌 역사의 이름으로 변호한다.

"이 법정에는 해결해야 할 중대한 문제가 남아 있습니다. 70명이 살해된 사건, 즉 우리가 알고 있는 것 중에서 가장 큰 학살이었던 사건 말입니다. 학살 사건에 연루됐던 사람들이 석방된 뒤 무장을 하고 다니고 있어 우리 시민들은 계속 위협에 시달리며 살고 있습니다. 만약 비겁함이나 우유부단함, 법원의 방해로 그들에게 엄중한 법의 심판이 내려지지 않는다면 애석하게도 여러분의 명예는 실추될 것이며 여러분이 내린 판결은 유례없는 오명을 쓰게 될 것입니다. … 저는 동료들 70명의 목숨을 앗아간 야비한 독재자의 광분을 두려워하지 않는 것처럼 감옥 역시 두려워하지 않습니다. 저에게 유죄판결을 내리십시오. 그런 것은 전혀 중요하지 않습니다. 역사가 나를 무죄로 할 것입니다."
-1953년 피델 카스트로 최후진술, '역사가 나를 무죄로 하리라' 398쪽.

독재정권의 법원은 그에게 15년형을 결정한다. 2년 만에 여론의 지지에 힘입어 특별사면된 카스트로는 멕시코로 건너간다. 그곳에서 그는 혁명 동지 체 게바라를 만난다. 1956년 다시 쿠바로 돌아온 그는 결국 3년여 만에 바티스타 정권을 전복한다.

카스트로 스스로 인정한 바이지만 그는 '마르크스주의자'가 아니다. 공산주의 혹은 사회주의를 언급했을지라도 미국의 무력 봉쇄 앞에 살아남기 위한 방책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럼에도 그걸 폄훼할 수 없는 건 그가 최후진술에서 "쿠바의 정치는 아메리카 대륙의 민주적 민중과 긴밀한 유대관계를 갖게 될 것"이라며 "쿠바는 독재정치의 치욕스러운 사슬의 고리가 아니라 자유의 보류여야 합니다"라고 말한 바를 지키고자 노력한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그는 아옌데와 칠레 인민에게, 만델라와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인민에게 연대를 아끼지 않았다. 그의 정치가 갖는 한계를 잊지 말아야 겠지만 인민에 대한 그의 태도에선 배워야 할 교훈도 분명 있음을 기억했으면 좋겠다.

"우리는 투쟁에 앞서 실직했으면서도 일자리를 찾아 조국을 등지지 않고 끝까지 남아 정직한 방법으로 돈을 벌려고 하는 60만 쿠바 민중을 생각합니다. … 농민들은 비참한 오두막에서 살며 1년 중 4개월 동안만 일할 수 있고 나머지 기간은 비참하게 살아야 합니다. … 산업노동자와 날품팔이들은 노후연금을 횡령당하고 재산을 착취당하고 있으며 그들의 거처는 지옥 같은 기숙사이고, 봉급은 사장의 손에서 고리대금업자의 손으로 넘어가고, 미래는 임금삭감과 파면이며, 생활은 끊임없는 노동뿐이고 유일한 휴식처는 바로 무덤입니다. … 교사와 교수들은 후세대의 더 나은 삶을 위해 기꺼이 희생하고 있으며 없어서는 안될 사람들이지만 매우 형편없는 취급을 받고 봉급도 제대로 받지 못합니다. 빚이 산더미처럼 쌓여 있는 영세 상인들은 경제위기 때문에 파산했고 … 의사ㆍ기술자ㆍ변호사ㆍ수의사ㆍ교육자ㆍ기자ㆍ예술가와 같은 젊은이들은 곧 자신들의 탄식과 도움을 구하는 소리를 누구도 들을 수 없는 사방이 막힌 막다른 골목에 자신들이 서 있음을 발견합니다. 이런 사람들이 바로 민중입니다. 온갖 불행을 겪은 나머지 분노에 가득 차 투쟁에 뛰어들 수 있는 민중에게 우리는 "당신들에게 어떤 도움을 주겠다"가 아니라 "당신들에게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니 자유와 행복을 당신들 것으로 만들기 위해 온힘을 다해 투쟁하십시오!"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1953년 피델 카스트로 최후진술, '역사가 나를 무죄로 하리라' 386~387쪽.

※카스트로의 최후진술은 일부 수정했습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