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난민 (2)
자유롭지 못한…

10월 7일 가자의 반격 이후 보름여가 지나고 있다. 로이터 통신은 22일(현지시간) "가자지구 주민에게 긴급 경고한다. 가자지구 북부에서 와디 가자 이남으로 떠나지 않기로 한 사람은 누구든 테러리스트 조직의 공범으로 간주할 것이다"는 이스라엘군이 배포한 것으로 보이는 전단이 발견됐다고 보도했다. '와디 가자'는 가자지구를 남북으로 가르며 지중해로 흘러가는 건천(비가 올 때만 물이 흐르는 강)이다. 이스라엘과 그 후원자인 미국이 '하마스'가 문제라고 하던 것이 위선이라는 걸 얼핏 드러내 보인다. 그들에겐 가자의 거주자들,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존재 자체가 문제였던 것이고 이스라엘은 이들을 '청소'하려는 것이다. 애초 하마스는 핑계, 그것도 성의 없는 핑계일 뿐이다. 물론 모든 사건이 2023년 10월 7일..
아프리카인 망명 신청자들이 1월 5일 사흘 간의 총파업을 시작했다. 이들은 이스라엘 정부의 체포와 구금 중단, 망명 신청 심사를 요구하고 있다. 파업 첫 날 텔아비브 라빈광장에 모인 아프리카 난민들. 이날 시위엔 3만여 명이 참여했다. [사진 Activestills.org] 이스라엘에서 아프리카 출신 난민들이 5일 시작한 총파업이 이틀 째 계속되고 있다. 5일 텔아비브 라빈광장에는 3만여 명이 모여 행진과 시위를 벌였다. 6일에는 미국ㆍ캐나다ㆍ독일ㆍ프랑스 등 외국 대사관과 유엔난민기구 이스라엘 사무소 앞에서 항의 시위를 이어갔다. AFPㆍ로이터에 따르면 미국 대사관 앞에는 1만여 명이 모였다고 한다. 시위를 벌인 난민은 대개 수단과 에리트레아에서 왔다. 이스라엘 전역에 5만~6만명이 체류하고 있는 것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