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레닌 (11)
자유롭지 못한…

러시아혁명 100주년 자코뱅 JACOBIN 온라인 시리즈 ④ 그람시와 러시아혁명 젊은 날의 안토니오 그람시는 러시아혁명을 목격하고 무슨 생각을 했을까 알바로 비앙치_ 국립 캄피나스대학 정치학 교수다. 저서로는 'Laboratório de Gramsci'(Alameda, 2008)가 있다. Blogjunho.com.br의 편집자다 다니엘라 무시_ 상파울루대학 박사후 과정 연구원이다. Outbrorevista.com.br을 운영하고 있다. ※ 2017년 러시아혁명 100주년을 기념한 JACOBIN 온라인 시리즈를 번역한 것이다. 다른 동료와 함께 작업을 진행하다 멈췄다. 번역한 글은 참세상에 연재됐고 일부는 Marxists Internet Archive의 관련 페이지에 실렸다. 마무리 못한 작업이지만 온라인..

러시아혁명 100주년 자코뱅 JACOBIN 온라인 시리즈 ② 2월혁명의 진행 케빈 머피_ 매사추세츠 주립대 보스톤 캠퍼스에서 러시아사를 가르치고 있다. 그의 책 '혁명과 반혁명:모스크바 금속공장에서의 계급투쟁'은 2005년 도이처상을 받았다. ※ 2017년 러시아혁명 100주년을 기념한 JACOBIN 온라인 시리즈를 번역한 것이다. 다른 동료와 함께 작업을 진행하다 멈췄다. 번역한 글은 참세상에 연재됐고 일부는 Marxists Internet Archive의 관련 페이지에 실렸다. 마무리 못한 작업이지만 온라인에서 잊혀지기 전에 내가 초벌번역한 것들을 개인 블로그인 이곳에 백업해놓는다. 대괄호[ ] 안은 이해를 돕기 위해 첨가한 것이고 설명이 필요한 것은 역자 주로 글의 맨 뒤에 붙였다. 볼셰비키 페테르..

민간 정보기관 '스트랫포'는 주로 동유럽과 아랍 지역의 정치와 외교 정보를 분석해 기업들에 제공해왔다. 미국 내에서는 오큐파이 운동 참가자들 정보를 무단 수집해 논란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이들은 동유럽 시민사회에 개입해 정권교체를 도모했다는 의혹도 받는다. 그들이 제공하는 분석과 정보가 별 것 아니라는 평가도 있지만 미국 중심의 세계질서를 유지하는 데 기여하려는 의도, 혹은 그러한 일에 일부 역할을 했음은 분명한 듯하다. 그 스트랫포의 대표 조지 프리드먼의 책 '다가오는 유럽의 위기와 지정학'(Flash Points)이 최근 주류 언론을 중심으로 관심받고 있다. 미국을 정점으로 한 제국주의 세계체제의 유지에 깊은 관계를 맺고 있는 인물의 지정학적 세계분석을 보여주기에 꼭 읽어봐야할 책이다. 대략 5년여..
자코뱅매거진은 러시아혁명 100주년을 맞아 1917년 혁명의 여러 쟁점을 다양한 활동가ㆍ연구자들의 기고를 받아 연재하고 있다. 100여 년이 지난 지금도 러시아혁명은 논쟁적일 수밖에 없다. 아래 글은 자코뱅매거진에 실린 에릭 블랑의 '핀란드 혁명'[링크]에 대한 반박 글이다. 블랑의 글을 직접 옮기며 쌓인 여러 의문을 아래 글은 일부 해소해주고 있다. 참세상에 게재된 블랑의 글을 읽은 독자들이 가진 의문을 이 글이 일부 해소해주길 바라며 여기에 옮긴다. + + + 핀란드의 교훈: 에릭 블랑에 대한 이견 던컨 하트ㆍ2017년 7월 11일(링크) 에릭 블랑의 글 '1917년 핀란드 혁명의 교훈'은 핀란드의 경험이 주로 카우츠키주의적 사회민주주의 전략을 정당화하는 혁명이라는 주장을 펼침으로써 오늘날 좌파에게 ..
혁명 직전 러시아사회민주노동당의 사회주의자들은 흔히 알려진 대로 볼셰비키와 멘셰비키로 나뉘어있던 상태였다. 1917년 당시 혁명의 과제에 대한 이들의 입장 차이는 현실에서 당시 정부와 갈등을 빚던 자유주의자들, 자본가들에 대한 입장 차이로 드러났다. 아래의 두 호소문은 이 차이를 명확하게 보여준다. 멘셰비키가 관여하고 있던 전쟁산업위원회 산하 노동위원회는 1월 24일[구력] 차르의 전제정과 부르주아지의 갈등이 노동계급에게도 유리한 상황을 전개할 것이라며 두마[의회]를 지지하는 행동에 나설 것을 노동자들에게 호소한다. 노동계급 대중의 지지가 없다면 아무런 힘도 없을 의회를 위해서 말이다. 러시아사회민주노동당 페테르스부르크 위원회[혁명 당시 러시아 수도의 지명은 '페트로그라드'였다. 원래 이에 맞춰 통일해 ..
올해로 러시아혁명 100년이다. 혁명은 1차 세계대전의 전쟁과 살육 사이에서 자본주의 체제에 대한 분노를 자양분 삼아 성장했다. 체제에 대한 불만과 분노 만으로 혁명이 성공할 순 없었다. 다가올 사건을 대비하고, 노동계급 대중을 단결시킬 혁명적 조직 또한 준비돼있어야 했다. ●세계대전의 발발과 인터내셔널의 붕괴 1914년 8월 1차 세계대전의 발발은 그런점에서 혁명을 향한 결정적 사건이었다. 유럽과 세계의 인민에게 재앙이었던 이 사건은 노동계급 혁명 조직에게도 악몽과 같은 사건이었다. 유럽 최대의 사회주의 조직인 독일사회민주당은 1914년 8월 4일 제국의회에서 전시공채 발행에 ‘찬성’표를 던진다. 제2인터내셔널이 1907년 슈투트가르트대회와 1912년 바젤대회에서 연이어 전쟁 반대를 위한 전 세계 노동..
1939년 4월 '뉴인터내셔널(New International)' 제5권 4호(1939년 4월)에 실린 트로츠키의 크루프스카야 추도문이다. 크루프스카야는 1869년 2월에 태어나 1939년 2월 숨을 거뒀다. 대괄호[]는 이해를 위해 덧붙인 것. 크루프스카야의 죽음(링크) 크루프스카야는 레닌의 아내이기도 하지만 대의에 대한 헌신, 열정적이고 청렴한 성격에 있어서 걸출한 사람이었다. 물론 레닌의 아내였던 것이 우연은 아니다. 그녀는 의심할 여지 없이 똑똑한 여성이었다. 그렇지만 레닌과 함께 있는 동안 그녀의 정치적 사고가 독립적으로 발전하지 않은 것이 놀랄 일이 아니다. 그녀는 많은 경우에 있어 그의 정확함을 확신할 기회를 가졌었고, 그녀의 위대한 동반자이자 지도자를 믿는 데 익숙해졌다. 레닌이 죽은 후 ..
반란의 도시: 도시에 대한 권리에서 점령운동까지|데이비드 하비 지음|한상연 옮김|에이도스 기본적으로 마르크스주의자들이 활동하는 장소는 도시다. 자본주의적 대량생산은 거대한 도시공간으로 불변자본과 가변자본을 집중시킨다. 대규모로 형성된 노동인구는 그 자체로 거대한 투쟁의 저수지다. 사실 마오와 체게바라의 농민 게릴라 운동은 마르크스주의 전통과는 거리가 있는 실천이다. 도시는 생산 뿐 아니라 재생산 공간으로서 노동계급의 일상 전체를 조직한다. 가난의 비참은 열악한 도시환경에서 더 비극적이 된다. 오웰이 경험한 밑바닥 생활이 그랬다. 그리고 엥겔스 자신이 오랫동안 천착했던 문제가 바로 이 문제이기도 했다. 한국에서도 도시의 하층 노동계급 문제는 좌파에게 꽤 오랫동안 핵심적 과제였다. 1990년대 학생운동은 노..
'제국주의론' 하면 보통 레닌을 떠올린다. 하지만 부하린의 '제국주의와 세계경제'의 성취는 레닌에 못지 않다. 이정로(본명 백태웅)가 옮긴 부하린의 '제국주의와 세계경제'는 당시의 검열 때문에 원작자의 이름이 표기되지 못하고 본문에서도 몇몇 문장을 삭제하고 어떤 표현은 순화시켜 옮겼다. 레닌이 쓴 서문이 빠진 것은 당연하다. 이를 대신해 서문으로 실린 엥겔스의 '유토피아에서 과학으로의 사회주의의 발전' 3장조차도 여기저기 '완화'된 표현으로 인쇄돼야만 했다. 우선은 여기 레닌이 쓴 서문을 옮긴다. 이곳저곳 눈쌀 찌푸리게 할 의역과 오역이 많으니 원문을 꼭 참조하길 바란다. 대괄호[]는 옮긴이가 덧붙인 것이고 소괄호()는 원문에 있는 것이다. 부하린의 제국주의와 세계 경제, 레닌의 서문[1] 원문: N.I..
국가와 혁명 블라디미르 일리치 울리야노프 레닌 지음|문성원ㆍ안규남 옮김|아고라 프락시스 총서 1917년 2월 페트로그라드(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혁명이 시작된다. 러시아 황제 니콜라이 2세는 궁전에서 쫓겨났다. 황제가 물러난 겨울궁전에는 임시정부가 들어선다. 공장과 군대에는 소비에트가 세워졌다. 노동자와 병사들이 자신들의 의견을 모으고 집행하기 위해 스스로 조직한 권력 기관이다. 이 소비에트는 1905년 혁명 때 처음 등장했었다. 세계 여성의 날인 2월 23일(신력으로 3월 8일) 시작된 혁명은 구권력을 무너트렸지만 아직 새로운 권력을 세우는 건 쉽지 않았다. 겨울궁전의 임시정부는 노동자ㆍ병사 소비에트의 허락 없이는 그 어떤 행동도 하지 못했다. 하지만 노동자ㆍ병사 소비에트도 임시정부를 넘어서진 못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