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329)
자유롭지 못한…

러시아혁명 100주년 자코뱅 JACOBIN 온라인 시리즈 ② 2월혁명의 진행 케빈 머피_ 매사추세츠 주립대 보스톤 캠퍼스에서 러시아사를 가르치고 있다. 그의 책 '혁명과 반혁명:모스크바 금속공장에서의 계급투쟁'은 2005년 도이처상을 받았다. ※ 2017년 러시아혁명 100주년을 기념한 JACOBIN 온라인 시리즈를 번역한 것이다. 다른 동료와 함께 작업을 진행하다 멈췄다. 번역한 글은 참세상에 연재됐고 일부는 Marxists Internet Archive의 관련 페이지에 실렸다. 마무리 못한 작업이지만 온라인에서 잊혀지기 전에 내가 초벌번역한 것들을 개인 블로그인 이곳에 백업해놓는다. 대괄호[ ] 안은 이해를 돕기 위해 첨가한 것이고 설명이 필요한 것은 역자 주로 글의 맨 뒤에 붙였다. 볼셰비키 페테르..

최근 한달 새 제주도를 두 번 찾았다. 겨울에서 봄으로 가는 오름의 풍경들이다. 제주에선 어느 곳에서나 한라산 백록담이 보인다. 물론 구름이 너무 많이 낀 날씨가 아니면 말이다.

민간 정보기관 '스트랫포'는 주로 동유럽과 아랍 지역의 정치와 외교 정보를 분석해 기업들에 제공해왔다. 미국 내에서는 오큐파이 운동 참가자들 정보를 무단 수집해 논란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이들은 동유럽 시민사회에 개입해 정권교체를 도모했다는 의혹도 받는다. 그들이 제공하는 분석과 정보가 별 것 아니라는 평가도 있지만 미국 중심의 세계질서를 유지하는 데 기여하려는 의도, 혹은 그러한 일에 일부 역할을 했음은 분명한 듯하다. 그 스트랫포의 대표 조지 프리드먼의 책 '다가오는 유럽의 위기와 지정학'(Flash Points)이 최근 주류 언론을 중심으로 관심받고 있다. 미국을 정점으로 한 제국주의 세계체제의 유지에 깊은 관계를 맺고 있는 인물의 지정학적 세계분석을 보여주기에 꼭 읽어봐야할 책이다. 대략 5년여..
8월 1일 DMZ(비무장지대)를 보기 위해 철원군 김화읍 생창리의 DMZ생태평화공원을 방문했다. 홈페이지(링크) 길 안내를 보면 내비게이션에서 '김화읍사무소'를 검색해 찾아오라고 돼있지만 '철원DMZ생태평화공원'으로 검색하면 바로 찾아갈 수 있다. 몇 년 전까지 이 탐방코스의 방문자센터가 위치한 생창리가 민통선 안쪽에 위치해 있어서다. 지금은 민통선이 조금 더 북쪽으로 이동해 다음과 네이버 지도는 물론 내비게이션 서비스에서도 검색이 된다. DMZ생태평화공원 방문자센터를 찾은 날은 40도를 넘보는 폭염이 전국을 강타했고 철원 김화읍 일대도 38도에서 39도 내외의 기온을 기록했다. 안내자에 따르면 보통은 민통선 안쪽의 부대 앞 주차장까지 이동하고 3시간여 산길을 걷는 코스이다. 하지만 폭염 때문에 방문자센..
2018년 4월 27일. 역사적인 날이기에, 조금이라도 가까이 있길 바라는 마음에 임진각을 찾았습니다. 제가 갈 수 있는 제일 마지막 북단이죠. [사진=自由魂] 생각보다 사람이 많지는 않았습니다만, 65년 염원은 곳곳에 쌓여있었죠. [사진=自由魂] 아래 사진 철조망 앞의 나무는 임진각에 보존돼있는 녹슨 증기기관차에 뿌리내리고 살던 것을 옮겨 심은 것이라고 합니다. 이 나무는 올해 봄에도 어김없이 푸른 싹을 틔우고 있네요. 경의선 복원사업의 일원으로 놓인 임진강철교 옆, 옛 철교, 독개다리에선 끊어진 철길 곳곳에서 반세기 넘게 묵은 오랜 상처를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사진=自由魂] 동그란 원으로 표시된 한국전쟁 총탄의 흔적은 가슴에 아프게 박혀왔죠. 하늘은 맑았지만 미세먼지가 짙었던 이날에도 임진강은 고..
서지현 검사의 성폭력 폭로 후 '미투 운동'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피해 여성은 물론 남성들도 '위드유'를 외치며 사회에 만연한 성폭력 문화 개선을 위한 운동에 팔을 걷어부치고 나섰다. 끝없이 이어지는 폭로를 보고 있자면 한국 사회의 성폭력 현실에 대해 한숨만 나오곤 한다. 이어진 미투 선언에 여권의 유력한 차기 대권 주자인 안희정 전 충남지사가 자리에서 내려왔다. 더불어민주당의 민병두 의원도 국회의원직을 사퇴했다. 사실에 대한 다툼이 이어지고 있긴 하지만 사회 전반에 만연한 성폭력ㆍ성희롱 현실을 보여주고 있다. 이미 지났지만 3월 8일 세계 여성의 날을 맞아 한국 사회 여성이 처한 성폭력 현실을 몇몇 통계로 살펴보겠다. 1. 한국 여성 10명 중 2명은 평생 한 번 이상 '신체적 성폭력'을 겪는다 여..
"중산층 이하 … 같은 직종에서 남성이 임금을 더 많이 받는 모습은 40대 이하에서는 더 이상 찾기 어려운 광경입니다." "'사회활동=남성' '집안일=여성'식으로 돼 남성이 작던 크던 힘을 독점했던 19세기에나 남녀구도가 통했지, 모두가 사회활동을 하는 21세기에서 이런 프레임은 낡아도 너무 낡았습니다." 인터넷에서 주로 활발하게 벌어지고 있는 '페미니즘'에 대한 나름 진지한 반대론을 보면, 현재 남녀의 경제적ㆍ사회적 지위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어졌다는 주장이 바탕에 깔려있다. 1980년대는 그랬을지 몰라도 2000년대에는 그렇지 않다고 주장하곤 한다. 사법고시와 공무원시험과 같은 것은 물론 육사 합격ㆍ졸업자들에서도 여성의 진출 확대는 두드러져 보인다. 교원 노동자 중 여성의 비중은 다른 분야보다 압도적으..
자코뱅매거진은 러시아혁명 100주년을 맞아 1917년 혁명의 여러 쟁점을 다양한 활동가ㆍ연구자들의 기고를 받아 연재하고 있다. 100여 년이 지난 지금도 러시아혁명은 논쟁적일 수밖에 없다. 아래 글은 자코뱅매거진에 실린 에릭 블랑의 '핀란드 혁명'[링크]에 대한 반박 글이다. 블랑의 글을 직접 옮기며 쌓인 여러 의문을 아래 글은 일부 해소해주고 있다. 참세상에 게재된 블랑의 글을 읽은 독자들이 가진 의문을 이 글이 일부 해소해주길 바라며 여기에 옮긴다. + + + 핀란드의 교훈: 에릭 블랑에 대한 이견 던컨 하트ㆍ2017년 7월 11일(링크) 에릭 블랑의 글 '1917년 핀란드 혁명의 교훈'은 핀란드의 경험이 주로 카우츠키주의적 사회민주주의 전략을 정당화하는 혁명이라는 주장을 펼침으로써 오늘날 좌파에게 ..
혁명 직전 러시아사회민주노동당의 사회주의자들은 흔히 알려진 대로 볼셰비키와 멘셰비키로 나뉘어있던 상태였다. 1917년 당시 혁명의 과제에 대한 이들의 입장 차이는 현실에서 당시 정부와 갈등을 빚던 자유주의자들, 자본가들에 대한 입장 차이로 드러났다. 아래의 두 호소문은 이 차이를 명확하게 보여준다. 멘셰비키가 관여하고 있던 전쟁산업위원회 산하 노동위원회는 1월 24일[구력] 차르의 전제정과 부르주아지의 갈등이 노동계급에게도 유리한 상황을 전개할 것이라며 두마[의회]를 지지하는 행동에 나설 것을 노동자들에게 호소한다. 노동계급 대중의 지지가 없다면 아무런 힘도 없을 의회를 위해서 말이다. 러시아사회민주노동당 페테르스부르크 위원회[혁명 당시 러시아 수도의 지명은 '페트로그라드'였다. 원래 이에 맞춰 통일해 ..
1905년 1월 9일, 러시아 페테르스부르크의 겨울궁전 앞 학살과 이후 전국을 뒤흔든 1년여간의 사건을 빼놓고 1917년의 혁명을 이해하기란 어렵다. 당장 아래 소개할 러시아사회민주노동당 페테르스부르크 지구연합위원회의 1월 22일 시위 호소문만 해도 그렇다. 1917년 1월 러시아 노동자들은 3년째 계속되고 있는 세계대전의 핏빛 행진에 지쳐있었고 하루하루 더해가는 슬픔에 분노의 도화선은 짧아져만 가고 있었다. 1917년의 노동계급 활동가들은 현재의 비극을 1905년의 비극과 겹쳐 회상한다. 전쟁에서의 잇따른 패배와 노동계급의 희생, 이와 대비되는 지배계급의 호의호식과 귀족ㆍ관료집단의 무능은 1905년에도 마찬가지였다. 1904년 2월 시작된 러일전쟁은 러시아 지배계급이 허우대만 멀쩡한 종이 호랑이임을 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