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329)
자유롭지 못한…
촛불 1주년을 즈음해 두 권의 책이 나란히 출간됐습니다. 그대는 왜 촛불을 끄셨나요? 당대비평 기획위원회|산책자 미네르바의 촛불 조정환|갈무리 조정환의 책은 '그대는 왜 촛불을 끄셨나요?'에 대한 비판으로 시작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이택광이 자신의 블로그에서 반비판을 하면서 논쟁이 시작됐죠. 아직 두 권의 책을 모두 읽지는 않았기에 이 논쟁에 본격적으로 끼어들 수는 없습니다. 뒤늦게 참여할 수 있을진 모르겠지만 나중에라도 되돌아보기 위해 관련 글들을 모아봤습니다. 물론 아래 글 이후에도 이택광과 조정환의 블로그엔 더 진행된 논쟁 글이 있습니다. ㆍ이택광 '조정환의 촛불론' ㆍ조정환 '이택광의 『미네르바의 촛불』 비판에 대한 반비판 1. 폭동과 봉기' ㆍ신기섭 ''촛불 담론' 논쟁이 본격화 하려나' ㆍ최원..
5월 2일 밤 9시43분 명동 밀리오레 앞. 시청광장에서 경찰에 의해 쫓겨난 시위대는 삼삼오오 흩어졌다가 명동 밀리오레 앞에 다시 모였습니다. 경찰들도 부리나케 시위대를 쫓아 명동 입구에 모여들더군요. 보통은 시위대를 해산하기 위한 진압작전을 펼치더라도 명동 입구로부터 안쪽으로 진압해 들어오다가 멈추는게 요 10여년 간의 상식이었죠. 근데 어제는 명동 입구를 경찰이 포위해 출구를 막아놓은 상황에서 명동 안쪽으로부터 경찰이 진압해 들어오더군요. 80년대 스타일이 유행이라더니 시위 진압도 80년대 스타일로 돌아가나 봅니다. 어청수는 낙마했지만 어청수가 했던 "80년대식 진압"이라는 말은 현실이 되는 군요. 경찰의 폭력이 휩쓸고 지나간 거리엔 신발 한 짝만 주인을 잃고 놓여있습니다. 다시 밤 10시46분 명동..
구입해야 할 책 이준구 교수의 쿠오 바디스 한국경제 : 이념이 아닌 합리성의 경제를 향하여 이준구 지음|푸른숲 주류 경제학자로만 알고 있던 이준구 서울대 교수가 어느 순간부터 이명박 정부의 경제 정책에 대한 저격수로 뜨고 있다. 지금은 '한겨레'에 기명칼럼까지 싣고 있다. 이준구 교수가 좌파로 전향한 것일까? 설마. 이명박 정부가 워낙 막장일 뿐. 특강 : 한홍구의 한국 현대사 이야기 한홍구 지음|한겨레 출판 작년 연말에 뉴라이트라 불리우는 사람들에 의해 고3 학생들을 위한 한국 현대사 특강이 전국에서 진행됐었죠. '대한민국史'로 기존 근현대사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보여준 한홍구 교수가 바로 그 뉴라이트의 '특강'에 맞불을 놓았습니다. 물론 돈도 권력도 없는 한홍구 교수가 직접 고등학교를 돌며 '특강'을..
용산참사 이후 82일만에 그곳으로 향했습니다. 오늘은 부활절이죠. 예수가 부활의 기적을, 로마에 점령당하고 핍박당한 유대민족 해방의 약속을 부활로서 증거한 날입니다. 그러나 21세기, 우리에게 예수의 증거는 더이상 허락되지 않는 기적에 불과한 듯 합니다. 개발의 탐욕에 심장을 뜯긴 교회에게, 그 탐욕에 기꺼이 몸을 내맡긴 우리에게 더이상 부활의 날은, 가난한 이들의 해방의 날은 허락될 수 없는 유토피아일 뿐이죠. 김정일은 로켔 쏘고 이명박은 나무 심고 박희태는 골프공 쏘고 경찰은 물대포 쏘고 시민들은 촛불 들고 팔천만 다함께 미쳐 날뛰어 보자!
최근 경제학 책 두 권을 읽었습니다. 300쪽이 조금 넘는 얇은 책입니다. 한 권 읽는데 일주일씩 걸렸네요. 사실 사흘 정도면 충분히 읽을 분량인데 문제는 항상 술자리입니다. 술자리를 하루 가지면 당일에 책을 못읽는 것 뿐만 아니라 다음날도 그 여파로 책에 집중하기 어렵죠. 이러저러한 핑계를 대며 미루다 보면 결국 일주일이나 걸려서 겨우 한 권을 읽는 수준인 것 같네요. 일주일에 한 권씩 읽어도 일년에 50여권 남짓밖에 못 읽는 것 생각하면 좀더 분발해야 하지만 실상 좀 두꺼운 책을 집어들다 보면 결국 50권 읽기도 벅찹니다. 그래도 작년부턴 대체적으로 일주일에 한 권은 읽고 있다는 데 만족하고 있습니다. 첫번째 책은 로버트 하일브로너와 레스터 서로가 쓴 '경제학은 무엇을 말할 수 있고 무엇을 말할 수 ..
시내의 모 대형 서점에 자주 갑니다. 책을 몇 권 사니 연필을 주더군요. 사실 며칠전에도 책을 사면서 받았었습니다. 그때 받은 연필은 집 책상에 고이 모셔져 있죠. 전 회사에서 연필을 씁니다. 업무 특성 때문이기도 하지만 고등학교 시절부터 연필로 써오던 버릇을 쉽게 버리지 못합니다. 전 칼로 연필을 깎아서 사용해요. 연필을 사용하면서 연필깎이를 사용하는 이유는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마음을 닦듯 나무를 깎아나가면 살며시 드러나는 검은 속살이 연필의 매력이죠. 연필깎이로는 이 매력을 느낄 수 없죠. 회사에선 노란색의 중국산 스테들러 연필을 씁니다. 다른 한 쪽엔 지우개가 달려있죠. 제가 스테들러 사장이라면 중국 공장은 당장에 정리해버리겠습니다. 이 중국산 연필은 스테들러의 명성을 깎아내릴 뿐이죠. 약간 비싸..
[경향신문] 용산 테러리스트|이대근 칼럼(클릭하면 경향신문 '이대근 칼럼'으로 이동합니다.) 어렸을 땐 신문의 오피니언 면을 거의 보지 않았습니다. 지금은 사회면은 건성으로 읽더라도 오피니언 면은 꼼꼼하게 읽으려 노력하고 있죠. 지난 후에라도 찾아보는 칼럼 몇몇이 있습니다. 경향신문 이대근 칼럼이 그 대표죠. 오늘 실린 칼럼의 제목은 '용산 테러리스트'입니다. 그는 이제 더이상 이명박 대통령에 대한 '조언'은 필요 없을 것 같다고 합니다. 아니, 사실은 필요 없는게 아니라 '소용'이 없는 것이겠죠. 이 대통령의 마이동풍 속도전, 죽은 자에 대한 최소한의 애도조차 표현치 않는 후안무치를 보며 그가 "이명박의 말대로 조언은 그만해도 될 것 같다"고 적을 때 가졌을 씁쓸한 심정에 공감하게 됩니다. "마키아벨리..
프레시안북에서 나온 Revolutions 시리즈입니다. 우선 책들을 보시죠.(책 사진은 알라딘에서 슬쩍 했습니다^^) Revolutions 01 마오쩌둥 : 실천론ㆍ모순론 Revolutions 02 로베스피에르 : 덕치와 공포정치 Revolutions 03 호치민 : 식민주의를 타도하라 Revolutions 04 예수 : 가스펠 Revolutions 05 트로츠키 : 테러리즘과 공포정치 신영복 교수는 발간의 글에서 "혁명이란 무엇이었으며 오늘의 혁명은 무엇이야 하는가에 관한 근본적인 성찰"이 필요하다고 지적합니다. "혁명은 모든 시대를 관통하는 이상"이기 때문이죠. 프레시안북은 역사적인 혁명가들과 현대의 실천적 지식인(슬라보예 지젝을 실천적 지식인이라고 할 수 있을지 잘 모르겠지만)의 대화(?)를 통해 ..